Apache
맥에서 내장된 아파치 실행하는 방법
1. 맥에 내장된 httpd.conf파일 찾기
- /private/etc/apache2/httpd.conf
2. 이 파일에 경로를 명시해서 수정
- SRVROOT
- Apache의 설치 경로에 대한 문자열을 SRVROOT 변수에 저장
- 이를 ServerRoot에 대입
- ServerRoot
- Apache서버가 설치된 디렉토리 경로를 지정하기 위한 지시자
- conf파일, logs 등의 디렉토리의 위치를 찾기 위해 사용
- ServerRoot
- 결국, Apache설정 파일에서 Apache설치 디렉토리를 가리킬 때 SRVROOT사용
3. 아파치 실행
- 내장된 아파치 실행
- 아파치 실행 확인방법
- 웹 브라우저 주소창에 localhost or localhost:80
- 아파치 실행 확인방법
brew 통해서 httpd다운
- httpd.conf파일 위치
- httpd.conf파일 = 아파치의 경로 등을 설정할 수 있는 중요한 파일
- httpd.conf파일 수정 방법
- 작업한 문서를 놓고싶은 위치로 설정
- brew통해서 httpd실행
- 백그라운드 서비스가 아닌 그냥 아파치 실행
정리
맥에는 아파치가 내장되어 있으므로 /private/etc/apache2/httpd.conf가 이미 존재.
따라서 /private/etc/apache/httpd.conf파일에 정확한 경로를 명시해서 수정해준 뒤
- terminal에서 위와같이 명령하면 아파치 시작
- /private/etc/apache2/httpd.conf 파일 (기존 내장된 파일) 을 참조해서 아파치 실행
- 아파치 시작 확인법 : 웹 브라우저 주소창에 localhost or localhost:80
그러나 위에서 brew를 통해 httpd를 다운받음
brew통해서 다운받은 파일 위치 : /usr/local/etc/httpd/httpd.conf
따라서 /usr/local/etc/httpd/httpd.conf파일에 정확한 경로 명시해서 수정해준 뒤
- brew를 통해서 아파치? httpd? 실행
- /usr/local/etc/httpd/httpd.conf의 파일 (brew로 다운받은 파일) 을 참조해서 아파치 실행
주의사항!!
기존 내장된 파일 중 httpd.conf파일은 2가지 존재
/private/etc/apache2/httpd.conf 파일, /private/etc/apache2/original/httpd.conf파일
아파치를 실행할때는 /private/etc/apache2/httpd.conf 파일을 참조하므로
이 파일에 경로를 명시해줄 것!!
brew를 통해 다운받은 파일 중 httpd.conf파일은 2가지 존재
/usr/local/etc/httpd/httpd.conf파일, /usr/local/etc/httpd/original/httpd.conf파일
brew를 통해 아파치를 실행할 때는 /usr/local/etc/httpd/httpd.conf파일을 참조하므로
이 파일에 경로를 명시해줄 것!!